?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내·외 사이버 위협 우려가 고조됨에 따라 '주의' 경보 발령



□ 개요
 o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사이버전 확산, 국내 기업 대상 랜섬웨어, 정보유출 사고 발생 등 국내·외 사이버 위협 발생 가능성이 고조됨에 따라 3.21(월) 09:00 부로 사이버위기 경보를 '주의'로 상향
    ※ 사이버위기 경보 단계는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

□ 대응
 o 악성코드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OS, 백신프로그램 등의 최신 보안업데이트 적용 유지
 o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및 불건전 홈페이지를 통한 감염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
 o 침해사고 발생 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certgen@krcert.or.kr)로 즉시 신고(국번없이 118) 등
malware.png

 


  1. 랜섬웨어, 코인 채굴 및 봇넷 기능을 하나로 결합한 새로운 멀웨어

  2. 랜섬웨어(Ransomware)

  3. 디도스(DDoS) 인터넷 방송, e스포츠까지 공격

  4. 드림시큐리티 MagicLine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5. 데이터베이스 서버 대상 랜섬웨어 감염 확산에 따른 보안점검 권고

  6. 데드볼트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QNAP 및 Asustor NAS 취약점 주의 권고

  7. 다후아(Dahua) 카메라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8. 다이볼(Diavol) 랜섬웨어와 TrickBot 조직과의 연결관계 증거 발견

  9. 나모 크로스에디터 업로드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10. 국세청 사칭 해킹 메일 주의 안내

  11. 국민건강보험 사칭 스미싱 문자

  12. 국내·외 사이버 위협 우려가 고조됨에 따라 '주의' 경보 발령

  13.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14.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15.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16.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17.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18.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19.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20. 구글 Chrome 브라우저 보안 업데이트 권고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XE Login